Midas CAD는 Internet Explorer로 접속할 경우 서비스가 일부 제한되거나 시스템 속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최적화된 브라우저 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midas CAD여야 하는 이유!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 대량의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구매 및 유지비 부담
- 불법단속 강화에 따른 라이선스 관리
- 직원의 캐드 학습 및 교육관리
- 출장, 합사 등에 따른 추가 라이선스 구매 부담
- 행정 외 프로젝트 도면 업무량의 부담
- 즉각적인 고객 요구사항 대처의 어려움
- 협력업체와의 소통 어려움
- 소모적인 반복업무의 부담
- 즉각적인 고객 요구사항 대처의 어려움
- 잦은 설계변경에 대한 수정변경 작업의 부담
- 캐드 불법단속 강화
- 네트워크 라이선스 중단에 따른 라이선스 유지비 부담
- 반복적인 출력업무의 피로도
캐드를 사용하면서 부족한 무언가 때문에 혹은 비효율적인 이유 때문에 리습이나 서드파티 제품을 사용해보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왜 리습이나 서드파티가 설계자들에게 필요할까요? 아마도 그것은 앞서 언급한 캐드를 사용하는 이유, 즉 효율성 때문이겠죠.
세계1위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통해 순수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한 국산캐드
- DWG, DXF 전 버전 완벽호환
- 동일 명령어, 인터페이스 제공
- 2D제도 기본기능 탑재
- LISP, API 호환
- 연속출력 기본 탑재
- 드림기능 및 편의 기능 탑재
- 네트워크 라이선스 제공
- 건축 업무 프로세스 별 차별화 기능
- 구적도, 문, 창문, 계단 등 건축 특화 기능
- 세움터용 DWG 분리기능
- 네트워크 라이선스 제공
어떤 버전이 적합할지 고민되신다면
4가지 질문에 응답해 주세요.
알맞은 버전을 추천해드립니다.
우연히 코리아빌드에서 방문했던 마이다스캐드, 지금은 작업할 때 꼭 필요한 원석과도 같은 존재예요. - (주) 공감종합건설 어진 팀장, 박일 팀장 -
구조 설계를 하는 기업이라면 마이다스캐드를 강력 추천드리고 싶어요. - (주) 시엘에스이엔지 정우찬 대리 -
(주)이산의 정보보호 최고책임자가 마이다스캐드를 도입하게된 계기는? - (주) 이산 이무기 부사장 -
(주)유신의 BIM팀과 토목 현장에서 마이다스캐드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을까? - (주) 유신 김시년 차장 / (주) 유신 유상욱 상무 -
이르면 2026년부터 여의도에서 크루즈를 타고 제주도 또는 외국으로 여행을 떠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는 한강 본연의 자연성을 존중하면서 다양한 볼거리 및 즐길 거리를 가미해 한강 매력도를 증진시키고,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관람차 '서울링'을 비롯해 잠실~뚝섬을 이어주는 '한강 곤돌라' 등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될 예정이며, 크루즈를 타고 서울에 방문할 수 있도록 여의도 한강공원에 '서울항'을 건설해 관광객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하고자 하는데요. 오늘은 마이다스캐드가 3천만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발판이 될 '서울항'에 대해 소개해드려고 합니다.
건설 스토리지난 4월에 발생한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사고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전단보강근이 누락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구조의 안정성 검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을 사고의 시발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국회에서는 이 같은 사고를 방지하고자 건축물의 구조 관련 설계와 공사감리 등의 업무를 건축구조기술사가 직접 수행하도록 분리하는 내용이 담긴 건축법 개정안을 발의하였는데요. 오늘은 마이다스캐드가 건축구조 분리발주 내용이 담긴 건축법 개정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건축법영화 ‘다운사이징(Downsizing, 2017)’는 단순히 작아진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개인의 몸의 크기가 변하고 이로 인해 달라진 휴먼 스케일이 만드는 코메디 에피소드는 이미 마블의 앤트맨(Ant-man) 시리즈, 더 앞서서는 ‘애들이 줄었어요(Honey, I shrunk the kids)’와 그의 속편에서 충분히 경험한 바 있습니다. 신체에 변화가 온 개인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집단의 사회적 실험을 통한 풍자를 보여주는 점에서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에 더욱 가깝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M칼럼